흔히 이가 시리면 칫솔질을 제대로 하지 않아 충치가 생겼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칫솔질을 꼬박꼬박 해도 이가 시릴 수 있다. 원인은 다름 아닌 치경부마모증 때문. 치경부란 치아 머리와 뿌리 부분을 연결하는, 잇몸 바로 위에 드러나 잘록한 부분을 말한다. 이 부분이 마모돼 이가 시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바로 치경부마모증이다.
시린이 가장 큰 원인은 잘못된 칫솔질
치경부마모증의 가장 큰 원인은 잘못된 칫솔질이다. 최근 연구(‘횡마법 잇솔질시 치경부마모증 유발에 관한 실험’)에 따르면, 좌우로 닦는 칫솔질을 장기간에 걸쳐 실시했을 때를 가정해 실험한 결과 치경부 마모현상이 확인됐다. 특히 5년 이상 이 같은 방법으로 칫솔질을 할 경우 육안으로도 마모 현상이 관찰될 정도로 횡마법 칫솔질이 치아 마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린이에는 미백치약 사용 삼가야
치약 선택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미백효과가 강한 치약은 대개 치표면을 닦아내는 연마제 성분이 많이 들어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치경부마모증을 방치하면 치아 아랫부분이 깨져나가거나 심하면 치신경이 노출될 수도 있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치경부마모증 초기에는 불소도포로 치아표면을 튼튼하게 할 수도 있다. 치표면의 법랑질이 상당부분 마모되거나 일부가 깨져나갔다면 레진과 같은 치아 수복재를 써서 치경부 표면을 메워준다